리눅스나 유닉스에서 사용할려면 마운트를 걸어야한다.


mount 전체 마운트가 걸렸나 확인하려면.



다중마운트 가능.

mkdir dvd2

mount /dev/sr0 /media/dvd2

mkdir dvd3

mount /dev/sr0 /media/dvd3


말이 필요없다..

하드 10G를 넣고 1,2,3,4 G씩 파티션을 나눠서 마운트 시켜볼 것이다 !

일단 시스템을 끄고 !! 하드를 추가한다 ~!


10G로 한다음

Single file로 하라는데.. 왜 그러는지 모르겠다...

아.. 물어보고 그냥 댓글에다 내가 달아야지..

그렇게 하면 저기 10GB 하드디스크가 생길것이다 !!

실제로 그냥 클릭해서 하드가 뿅 하고 나타난다면.. 난 부자가 되어있겠지...

저기 /dev파일에 sd*파일들이 하드디스크의 파일들이다!

뒤에 알파벳은

하드디스크 하나추가하면 a 두개면 두번쨰가 b 세개면 세번째가 c

뒤에 숫자는 a에서 파티션 하나면 1 두개면 2 이런식이다.

fdisk -l을 하면 현재 나뉜 파티션을 보여준다.

fdisk로 하여 하드디스크의 확인변경이 가능하다.

help를 쳐 보자. ! 

p를 쳐서 지금 나뉜 파티션을 보자

지금 아직 안나눠서 없다..


파티션 종류 변경 

  1. 변경  필요  t 입력 

  2. 변경하고 싶은 종류 ID 입력


새로운 파티션을 1G만들어보자.! 1파티션에! 그리고 1g, 2g, 3g, 4g

이렇게 만들고 ! 확인해보자!


확인 !


현재 마운트 된 장비들을 본다 ~!

sr0은 cd드라이브

sda1는 하드디스크

tmpfs 는 임시 파일스토리지라고 한다... 리눅스와 솔라리스에서 사용되는.

       나는 쉽지 않지만.. 쉽게말해 하드웨어 메모리를 디스크처럼 쓸 수 있는 파일 시스템이며 커널 2.4부터추가됐다한다.

영구적인 기억장치가 아니며 휘발성 기억장치란다..자세한 사항은 생략.. 뭔가 ..어려운 .. 시간 날때를 기약..


각각 마운트 시킬 디렉토리를 만든다 ! /media에 1gb, 2gb, 3gb, 4gb 디렉토리를 생성했다 !

ls로 확인까지 ~!

#mkfs.ext4 /dev/sdb1

sdb1을 포맷하는 명령어다. 아까 df명령어를 쓸 때 하드디스크가 ext4 형식인걸 봐서 저런 형식으로 썻다.

나머지 다 포맷을 시켰다.. 흐흐

여기서 df 명령어를 보자.

보통 Th를 많이 사용한다.

밑에 꺼처럼.. 강사님이 치던데로 치다가

df에 대해 검색하다 Th를 주로쓴다해서 생각해보니.. T랑 h랑 같이써도 되나 ? 해서 같이 써봤더니.. 된다..

다음부턴 Th를 써야지..

-h는 용량을 보기쉽게 M , G로 나타내 주는거고

-T는 사용하는 파일 시스템의 종류까지 나타나게 해주는 거다. !

-a, --all : 모든 파일 시스템을 대상으로 점검한다. 더미 파일 시스템으로 크기가 0인 것도 모두 보여준다. 어떤 시스템에서는 ignore 또는 auto 파일 시스템이 초기값으로 생략되는 경우가 있는데, 이 때 이 옵션을 사용한다.

-i, --inodes : 파티션별로 디스크사용량 점검 시에 블록 사용 정보 대신에 inode 사용 정보를 표시한다. inode란 특별한 종류의 디스크 블록인데, 이것은 파일이름, 소유주, 권한, 시간정보, 디스크에서의 위치 등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.

-k, --kilobytes : 표시하는 숫자들의 단위를 512바이트 블럭 단위 대신 1KB 단위로 표시한다.

-h, --human : 디스크사용량을 파티션별로 확인할 때 표시되는 용량을 알기 쉬운 용량단위(byte, Kbyte, Mbyte, Gbyte 등)로 표시한다.

-P, --portability : POSIX에서 사용되는 형태로 보여준다. 이 옵션은 한 줄에 하나의 파일 시스템 정보만 보여준다는 것을 제외하면 원래 출력 양식과 같다. 만약 마운트 장치 이름이 20문자 이상이면 줄이 나누어지는데 이런 경우는 생략되거나 축약된다.

-T, --print-type : 디스크사용량을 출력할 때 파일 시스템의 종류와 함께 표시한다. 특정 파일 시스템의 정보만 원할 때는 아래 두 옵션을 사용한다.

-t, --type=fstype : 특정 파일 시스템 종류만을 대상으로 디스크사용량을 조사한다.

-x, --exclude-type=fstype : 특정 파일 시스템의 종류를 제외한 디스크사용량을 조사한다.

-v : System V 용 df와 호환을 위한 옵션으로 무시한다.

--help : 도움말을 보여주고 마친다.

--version : 버전 정보를 보여주고 마친다.

무튼 이렇단다..


여기선 파일타입과 용량을 주로 보면 되겠다.

여기선 저 명령어를 치면 시스템이 시작될 때 자동 마운트 시켜준다.


첫번쨰 옵션은 디바이스 명.

두째는 마운트 포인트 !

셋째는 파일 시스템의 종류 !

ext -초기 리눅스에서 사용하였던 종류, 현재는 사용하지 않습니다. 

ext2 -현재도 사용하며, 긴~파일시스템이름을 지원하는것이 특징입니다. 

ext3 -저널링 파일시스템, ext2보다 파일시스템의 복수/보안기능을 크게향상되었고 현재 기본 파일시스템으로 쓰이고 있습니다. 

ext4 -16TB까지만 지원하던 ext3과 달리 더큰 용량을 지원하며, 삭제된 파일 복구, 파일 시스템 점검속도가 훨~씬 빨라진 파일시스템입니다. 

iso9660 -DVD/CD-ROM을 위한 표준 파일시스템으로 읽기만 가능합니다. 

nfs -원격서버에서 파일시스템?마운트할때 사용하는 시스템(Network File System) 

swap -스왑파일시스템, 스왑공간으로 사용되는 파일시스템에 사용합니다. 

ufs -Unix system에서 표준 파일시스템으로 사용합니다.(Unix File System) 

vfat -윈도우95/98등등 ntfs를 지원하기위한 파일시스템에 사용합니다. 

msdos -MS-DOS파티션을 사용하기위한 파일시스템에 사용합니다. 

ntfs -윈도우NT/2000의 nfts를 지원하기위한 파일시스템에 사용합니다. 

hfs -MAC컴퓨터의 hfs를 지원하기위한 파일시스템에 사용합니다. 

hpfs -hpfs를 지원하기위한 파일시스템에 사용합니다. 

sysv -Unix system v를 지원하기위한 파일시스템에 사용합니다. 

ramdisk -RAM을 지원하기위한 파일시스템에 사용합니다. 


넷째는 파일 시스템 고유의 옵션. 

default -rw, nouser, auto, exec, suid속성을 모두 설정 

auto -부팅시 자동마운트 

noauto -부팅시 자동마운트를 하지않음 

exec -실행파일이 실행되는것을 허용 

noexec -실행파일이 실행되는것을 불허용 

suid -SetUID, SetGID 사용을 허용 

nosuid -SetUID, SetGID 사용을 불허용 

ro -읽기전용의 파일시스템으로 설정 

rw -읽시/쓰기전용의 파일시스템으로 설정 

user -일반사용자?마운트 가능 

nouser -일반사용자?마운트불가능, root만 가능 

quota -Quota설정이 가능 

noquota -Quota설정이 불가능 

다섯째    dump명령어가 그 파일 시스템을 덤프할 필요가 있는지 지정..

0이면 필요 x     1이면 o

dump란 백업할때. 복구할땐 restore.

여섯째    fsck명령어로 무결성의 체크여부 지정.

0은 체크되지 않음.    1이상의 정수를 쓰면 숫자가 작은 순서부터 체크.    루트파티션은 보통 1

TISTROY리무버미디어는 보통 0 그리고 보통 fsck는 병렬처리가 되므로 나머지는 보통 2로 놔둠.



그래요 sdb4 즉 4G 짜리 하드를 두 디렉토리에 마운트 시켰습니다 !

그리고 umount를 했을 경우 !! 최근에 mount 했던 4gb2 디렉토리에서 사라진 것을 볼 수 있습니다 !!

아 그리고 umount 명령어를 쓸 때는 해당 디렉토리에 들어가서 하면 명령어가 안먹는다 !

그러니 참고하길 바란다..

그리고 이건 보너스 !!!

분명 4gb2에 test.txt라는 파일을 만들었다 !

그리고 그 디렉토리에 마운트를 시켰을 경우

lost+found라는    뭐 .. 개념적으론 쓰레기통같은거라고 했었지 아마..

그러니깐 test.txt라는 파일이 안보인다는거다 !!

그리고 umount를 했을경우는 또 다시 생겨난다.

그러니 파일이 지워진게 아닌것이다 !! 이러한 기본적인 수법을 이용해 해킹을 하기도 한다한다.. 주의하자.

용량만 많이 차지하고 파일이 없는거라면.. 이런걸 의심해 볼만 하다. 예로부터 데이터 은닉할 때 많이 사용하던 수법이라 한다.

'Computer > Linux Serv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Basic Command - 2  (0) 2016.04.04
Basic Command - 1  (0) 2016.04.03
VI편집기  (0) 2016.04.03
Vmware Tool  (0) 2016.04.01
Linux Start  (0) 2016.04.01

+ Recent posts